윤희숙 여연원장, 첫 정강·정책 연설“권력에 줄 선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4-25 09:52 조회7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윤희숙 여연원장, 첫 정강·정책 연설“권력에 줄 선 정치가 계엄 낳아…국민께 진심으로 사죄”尹 “이기고 왔다” 발언 비판국민의힘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유튜브 '국민의힘TV' 화면 캡처(영상제공: KBS)“권력에 줄 서는 정치가 결국 계엄과 같은 처참한 결과를 낳았다.”국민의힘 ‘싱크탱크’ 수장인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은 24일 당 정강·정책 방송 연설에서 “국민의힘은 지금 깊이 뉘우치고 있다. 국민들께 진심으로 사죄드린다”며 이같이 말했다.윤 원장은 KBS에 방영된 21대 대선 전 첫 정강·정책 연설에서 “국민의힘의 행태는 국민들께 머리를 들지 못할 정도였다”고 반성하는 태도를 보였다.윤 원장은 “말씀드리기에 너무나 고통스럽지만, 그렇게 당이 만만했기 때문에 대통령도 계엄 계획을 당에 사전 통보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알았더라면 당내 많은 이가 용산으로 달려가 결사코 저지했을 것”이라고 밝혔다.이어 “얼마 전 파면당하고 사저로 돌아간 대통령은 ‘이기고 돌아왔다’고 말했다”며 “무엇을 이겼다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당에 남겨진 것은 깊은 좌절과 국민의 외면뿐”이라고 토로했다.윤 원장은 그러면서도 “그러나 꼭 짚어야 할 것이 있다”며 “계엄은 이 모든 것의 시작이 아니라 너무나 혐오스러우면서도 익숙한 우리 정치의 고름이 터진 결과라는 점”이라고 강조했다.그는 “아무리 차분히 바라본다 해도 지난 3년은 다수당이 의석수로 정부를 무력화시킨 무정부 상태였다. 국민의힘 잘못을 회피하려는 말이 아니다”라며 “이런 정치가 그대로인데 정권만 바뀐다고 무엇이 달라지겠나”라고 반문했다.윤 원장은 6·3 대선을 두고 “단언하건대 지금은 대한민국의 기회”라며 “잘못된 과거와 단절하고 나라의 ‘새판’을 깔 수 있다면 먼 훗날 그때가 대한민국의 가장 큰 축복의 시간이었다고 돌아볼게 될 것이라 믿는다”고 했다.그러면서 “6월에 세워질 대한민국의 새 지도자는 징글징글한 정쟁을 뛰어넘어 국민 수준에 맞는 정치가 비로소 시작될 수 있도록, 그래서 한국경제가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도록 새판을 까는 역할을 해야 한다”며 “국가 정상화 그리고 경제 안정”을 차기 정부의 최우선 목표로 제시했다.윤 원장은 특히 차기 대통령에 대해 “취임 첫날 당적을 버림으로써 1호 당원이 아닌 1호 국민임을 천명해야 한다”며 “정쟁이 망가뜨린 나라를 치료하고 다시 세우기 위해선 정파의 대통령이 아니라 국민 모두의 신뢰를 받는 국민의 대통령이어야 한다”고 말윤희숙 여연원장, 첫 정강·정책 연설“권력에 줄 선 정치가 계엄 낳아…국민께 진심으로 사죄”尹 “이기고 왔다” 발언 비판국민의힘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유튜브 '국민의힘TV' 화면 캡처(영상제공: KBS)“권력에 줄 서는 정치가 결국 계엄과 같은 처참한 결과를 낳았다.”국민의힘 ‘싱크탱크’ 수장인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은 24일 당 정강·정책 방송 연설에서 “국민의힘은 지금 깊이 뉘우치고 있다. 국민들께 진심으로 사죄드린다”며 이같이 말했다.윤 원장은 KBS에 방영된 21대 대선 전 첫 정강·정책 연설에서 “국민의힘의 행태는 국민들께 머리를 들지 못할 정도였다”고 반성하는 태도를 보였다.윤 원장은 “말씀드리기에 너무나 고통스럽지만, 그렇게 당이 만만했기 때문에 대통령도 계엄 계획을 당에 사전 통보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알았더라면 당내 많은 이가 용산으로 달려가 결사코 저지했을 것”이라고 밝혔다.이어 “얼마 전 파면당하고 사저로 돌아간 대통령은 ‘이기고 돌아왔다’고 말했다”며 “무엇을 이겼다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당에 남겨진 것은 깊은 좌절과 국민의 외면뿐”이라고 토로했다.윤 원장은 그러면서도 “그러나 꼭 짚어야 할 것이 있다”며 “계엄은 이 모든 것의 시작이 아니라 너무나 혐오스러우면서도 익숙한 우리 정치의 고름이 터진 결과라는 점”이라고 강조했다.그는 “아무리 차분히 바라본다 해도 지난 3년은 다수당이 의석수로 정부를 무력화시킨 무정부 상태였다. 국민의힘 잘못을 회피하려는 말이 아니다”라며 “이런 정치가 그대로인데 정권만 바뀐다고 무엇이 달라지겠나”라고 반문했다.윤 원장은 6·3 대선을 두고 “단언하건대 지금은 대한민국의 기회”라며 “잘못된 과거와 단절하고 나라의 ‘새판’을 깔 수 있다면 먼 훗날 그때가 대한민국의 가장 큰 축복의 시간이었다고 돌아볼게 될 것이라 믿는다”고 했다.그러면서 “6월에 세워질 대한민국의 새 지도자는 징글징글한 정쟁을 뛰어넘어 국민 수준에 맞는 정치가 비로소 시작될 수 있도록, 그래서 한국경제가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도록 새판을 까는 역할을 해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