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5일(현지시각) 미 > 덕트 수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덕트 수리

지난달 5일(현지시각) 미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작성일25-07-02 10:32 조회5회 댓글0건

본문

지난달 5일(현지시각) 미국이 설립한 가자인도주의재단 가자 남부 라파흐 배급소 인근에서 가자 주민들이 남은 구호품을 구하러 몰려있다. 라파흐/로이터 연합뉴스 미국과 이스라엘의 지원을 받는 단체인 가자인도주의재단(GHF)가 가자지구 구호품 배급을 도맡은 뒤 600명 가까운 주민들이 사망하자, 세계 비정부기구(NGO) 200곳 이상이 현재 배급 체계를 중단하고 유엔 주도의 종전 체계로 복귀할 것을 요구했다. 국제구호단체 옥스팜과 세이브더칠드런 등 200개 이상 비정부기구는 1일(현지시각) ‘가자, 기아 또는 총격, 이것은 인도적 대응이 아니다’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내고 가자지구에서 진행 중인 식량 등 인도적 물품 배급 계획을 중단하고 유엔 주도의 종전 배급 체계로 복귀해야 한다고 밝혔다. 1일 오후 5시 기준(미국 동부 표준시) 202개 단체가 서명했다. 이들 단체들은 “이스라엘의 배급 제도가 시작된 이후 몇 주 동안은 2023년 10월 7일 (가자전쟁 발발) 이후 가장 치명적이고 폭력적 시기”였다며 “4주도 되지 않아 500명이 넘는 팔레스타인인이 사망하고 약 4천명이 식량을 구하는 과정에 다쳤다. 이스라엘군과 (이스라엘군과 연계된 것으로 알려진) 무장단체는 생존을 위해 모든 것을 걸고 절박하게 싸우는 민간인들에게 상습적으로 총격을 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지역은 국제 인도법을 노골적으로 무시하는 반복적인 학살의 현장이 되었다. 아이들도 피해를 입었다. 가자 지구 의료 시스템은 파괴되었고, 총에 맞은 많은 사람에게 구급차의 접근도 불가능하다.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의료서비스도 받지 못한 채 사람들이 피를 흘리고 죽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 단체는 국제사회를 향해 ‘민간인이 구호품을 구하고 보호받을 권리를 옹호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처를 할 것, 국제법을 위반하는 군사 지원 계획에 자금을 지원하지 말 것, 국제 인도법에 근거한 유엔 주도의 조정 메커니즘 회복을 지원할 것’을 촉구했다. 지난달 29일(현지시각) 가자 남부 칸 유니스에 있는 가자인도주의재단(GHF) 배급소를 향해 주민들이 식량 등을 구하기 위해 달려가고 있다. 칸유니스/로이터 연합뉴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구호품을 빼돌려 군수품으로 활 [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올해 3월 초대형 산불이 발생한 경북과 경남 등 영남권 임업인들이 소방과 환경 관련 부처의 무책임한 행정 행태를 성토하고 나섰다. 한국전문임업인협회와 산불재난특별위원회 등 올해 3월 대형산불 피해지역의 임업임들이 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집회를 하고 있다. (사진=한국전문임업인협회 제공) (사)한국전문임업인협회 최상태 회장과 전대현 산불재난특별위원회 공동위원장(대구·경북도지회장)은 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경북산불대책위원회’ 집회 현장을 방문해 산불피해 임업인들과 함께하며 고통과 분노의 목소리를 직접 들었다. 이날 임업인들은 “올해 3월 경북·경남 산불 당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지 못한 소방청과 환경부, 국립공원관리공단 등 실질적 책임자들은 지금껏 단 한 번도 사죄하지 않았다”면서 “현장의 희생자들을 외면한 채 자리만 지키는 현실이 더 분노스럽다”고 밝혔다.특히 이들이 집회를 연 같은 시간 국회에서는 산불 대응 토론회가 열렸지만 정작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임업인들은 단 한명도 초대받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이 토론회에는 소방청 관계자와 환경 전문가, 국회입법조사처 관계자 등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이에 대해 임업인들은 “책임자들의 자기변명 토론회”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최상태 한국전문임업인협회 회장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지 못한 책임자들이 아직까지도 단 한마디 사과조차 없다는 것이 현실”이라며 “국회가 이들과 함께 토론회를 열었다는 것 자체가 피해자에 대한 또 한 번의 외면”이라고 지적했다.전대현 산불재난특별위원회 공동위원장도 “피해자는 길거리에서 생존을 외치고, 책임자는 국회 안에서 토론을 벌이는 이 현실이 바로 대한민국 재난의 민낯”이라고 성토했다.이에 앞서 한국전문임업인협회는 지난달 발표한 공식 입장문을 통해 “힘 있는 자, 더 이상 숨지 마라. 진짜 책임자가 국민 앞에 사죄하라”는 메시지를 공론화했다.임업인들은 △산림청 중심의 산불 대응 지휘체계 일원화 △임도 확충·헬기 보강·산불진화대 정규직화 △산불 실화자에 대한 엄정 처벌 △산불재난특별법 제정 및 피해 보상 즉각 시행 △산불진화대와 임업인에 대한 국가적 예우 △허위 선동·가짜뉴스에 대한 법적 처벌 △국립공원과 산림의 이원적 관리체계 통합 등 7대 산불 대응 개혁 과제를 요구했다.박진환 (pow17@edaily.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단으로

[본 사] 서울시 노원구 월계1동 26-8(3층) TEL. 02-521-8852 FAX. 02-521-8851
[대구지사] 대구시 북구 산격동 1240-1 TEL. 053-957-0958 FAX. 053-521-09489
대표:이성길 사업자등록번호:214-02-78800 개인정보관리책임자:이성길

Copyright © ssungjin.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