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리흘은 화산이 폭발하면서 > 덕트 수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덕트 수리

영아리흘은 화산이 폭발하면서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작성일25-04-13 06:43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영아리흘은 화산이 폭발하면서 흘러내린 화산석과 용암이 굳어지면서 만들어낸 병풍처럼 둘러진 아주 특이한 지형이다. 습지를 중심으로 거대한 화산석이 병풍처럼 둘러진 모습이고, 그 안에는 분화구처럼 용암이 식으면서 굳어져 비가 내리면 물이 자연스럽게 고이게 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야말로 자연적으로 형성된 물통이다. 습지 바닥이 용암으로 뒤덮여 있어, 비가 내리면 물이 바로 바닥으로 스며들지 않고, 저장고 역할을 하여 물이 고이게 되는 것이다.◆ 신발 및 복장 : 트레킹화, 등산화, 등산복산 짐승과 바람 소리만 들려오는 첩첩산중에 자리 잡은 서귀포시 안덕면 상천리 영아리오름에 동·식물의 안식처인 제주 중산간 습지, ‘영아리흘’이 비밀스럽게 숨어 있다. 이 습지는 오로지 하늘에서 내린 빗물과 안개가 만들어낸 습기만 담은 천연 습지이다. 비가 많이 내린 맑은 날엔 수초와 주변에 자라는 여러 종류의 나무들이 어울려 마치 산정호수를 연상케한다. 그런가 하면 습지에 희뿌연 안개에 휩싸일 때 몽환적인 풍경을 자아내기도 한다. 새봄에 영아리오름을 가게 되면 자연스럽게 찾게 되는 습지라 소개한다.◆ 습지 종류 : 중산간 습지영아리오름 서쪽 가장자리 따스한 봄 햇살이 내리쬐는 숲에는 박새가 새싹을 피우고, 여러 종류의 자연림이 물오르기 시작한 풍경이 눈에 들어오며 습지 너머로는 봉긋이 솟아오른 영아리오름이 습지를 굽어보고 있다.병풍처럼 둘러진 화산석영아리오름 습지 ‘영아리흘’은 이른 봄이라 그런지 아직은 물이 가득 고인 풍경은 아니다. 이 정도 고인 물이라면 이 지역을 무대를 삼고 살아가는 노루나 야생동물들에겐 충분한 식수원이 될 정도의 양이다. 영아리흘은 폭이 약 50~70m 정도의 타원형이고, 주변에 삼나무를 비롯해 여러 종류의 자연림이 울창하게 우거진 곳에 숨어 있어 비경을 연출한다.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상천리 산24※ 영아리오름 습지 ‘영아리흘’ 여행 정보화산섬 제주에는 고산 습지를 비롯해 중산간 습지, 해안 습지가 있다. ‘영아리흘‘은 중산간 습지로 늘 물이 고여 질퍽질퍽하다는 데서 연유한 지명이다. 어떤 사람들은 이곳을 행기소라고 하는데 이는 잘못된 지명이고, 이곳은 서귀포시 홈페이지 제주의 마을 안덕면 상천리 마을 소개 지명유래 no2788(영아리흘)이라 표기하고 있다. 지금이라도 서귀포시와 안덕면 상천리 마을에서는 이곳의 지명을 정확히 알리는 안내판을 세웠으면 한다.자연적으로 형성된 천연동굴◆ 준비물 : 간식, 물, 간단한 의약품화산이 폭발하면서 날아온 화산석이 무수히 박힌 영아리흘 풍경이다. 거대한 왕석이 놓여 있는 곳에는 여러 종류의 자연림이 왕석에 뿌리를 감고 땅속으로 뿌리를 내린 모습을 볼 수 있다. 척박한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자연림을 보니 경외감이 든다.영아리오름 습지 영아리흘 가장자리를 따라 한 바퀴 둘러보며 앙상한 나뭇가지만 남은 자연림 사이로 조망되는 실루엣 한 풍경을 담았다.◆ 문의 및 안내 : 제주관광정보센터 064-740-6000~1거대한 화산석이 병풍처럼 촘촘히 둘러진 곳에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천연동굴이 있다. 이 천연동굴은 제주 근·현대사의 최대 비극인 4·3사건이 터지자 이곳은 몰래 산속으로 숨어 들어온 사람들이 몸을 숨기고 살았던 곳이다. 당시 흔적이 여기저기 남아 있어 가슴 아픈 역사를 말해주고 있다.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상천리 산 24영아리오름 습지 ‘영아리흘’ 전경영아리흘 습지는 조용하고 고요하다. 가끔씩 들려오는 노루 울음소리와 새소리, 바람 소리만이 적막을 깨운다.화창한 봄날 제주 중산간 깊숙한 곳에 자리 잡은 영아리오름 서쪽 들머리에 도착하니, 화산섬 제주가 만들어낸 특이한 지형이 눈에 들어온다. 바로 영아리오름 습지 ‘영아리흘’이다.◆ 서식 동·식물 : 맹꽁이, 유혈목이, 두꺼비, 도룡농, 까마귀, 노루, 까치, 세복수초, 노루귀, 박새, 현호색 등영아리오름(용와이오름)과 등성이가 맞닿은 곳에서 바라본 습지 전경이다. 마치 분화구처럼 움푹 팬 곳에 습지가 잘 발달된 모습이다. 물이 고였다가 빠지기를 반복하다 보니, 수생식물인 수초가 무성하게 자라는 모습을 볼 수 있다.봄이 되면 영아리흘 주변에는 세복수초를 비롯해 박새, 노루귀, 현호색, 개구리발톱 등 여러 종류의 야생화가 곱게 피어 발길을 붙잡는다.◆ 탐방 소요시간 : 약 2시간◆ 주소 : 서귀포시 안덕면 상천리 산 24번지하늘 높이 쭉 뻗은 삼나무 풍경이 아름답다. 영아리오름(용와이오름)과 등성이가 맞닿은 지점에는 화산이 폭발할 때 날아온 화산탄이 여기저기 널브러진 상태이고, 조림용으로 심은 삼나무가 울창하게 자라 진풍경을 만들고 있다.뭇 생명들이 바위에 의지해 자라는 모습이 눈에 들어오고, 따스한 봄 햇살을 받는 자연림은 하루가 다르게 새싹이 돋기 시작한 풍경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단으로

[본 사] 서울시 노원구 월계1동 26-8(3층) TEL. 02-521-8852 FAX. 02-521-8851
[대구지사] 대구시 북구 산격동 1240-1 TEL. 053-957-0958 FAX. 053-521-09489
대표:이성길 사업자등록번호:214-02-78800 개인정보관리책임자:이성길

Copyright © ssungjin.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