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닝샤회이주자치구 중웨이시 사포터우 지구의 모래언덕에 사각형 밀짚 방풍벽이 바둑판처럼 연결돼 있다. 아래쪽 사진은 작업자들이 전용 도구로 방풍벽을 만드는 모습. 中과학원 사포터우사막실험기지 사막 철도 모래바람 막는 데 성공 이후 밀짚방격 신기술 개발 이어져 설치 쉽고 조림 성공률 높아 각광 사막 면적 10년간 27.2%→26.8% 중국 텅거리 사막의 남단과 황허강이 만나는 닝샤회이주자치구 중웨이시 사포터우 지구의 모래언덕 위. 최근 찾은 이곳에서 작업자들이 바짝 마른 밀짚을 가로세로 1m 정사각형 모양으로 가지런히 눕혔다. 삽과 비슷한 전용 도구로 밀짚의 중간 부분을 눌러 땅속에 깊숙이 박아서 20~30㎝ 높이의 사각형 밀짚 방풍벽을 완성했다. 그 한가운데에 사막에서도 잘 자라는 골담초와 갈매나무 같은 묘목을 전용 도구로 깊숙이 눌러 심었다. 이 도구를 사용하면 삽으로 구덩이를 파서 묘목을 심는 것과 달리 땅속 수분 증발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연평균 강수량이 200~500㎖인 이곳 사막 지표면 30㎝ 아래에는 수분이 남아 있다. 밀짚들이 모래바람을 막아주는 동안 식물이 뿌리를 내리면 바람 따라 움직이는 ‘유동사구’(모래언덕)가 고정돼 사막화가 멈춘다. 밀짚 방풍벽을 바둑판처럼 연결해 묘목을 심는 ‘밀짚방격’ 기술과 전용 도구를 처음 고안해낸 탕시밍 중웨이국유림종합농장 수석엔지니어는 “1세대 기술은 수명이 3년에 불과했는데, 설치 방법을 혁신하고 전용 도구를 새로 발명해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늘렸다”면서 “식물 생존율도 획기적으로 높였다”고 설명했다.1세대 밀짚격자 기술은 1960년대 중국과학원 사포터우사막연구실험기지에서 탄생했다. 사포터우 지구에 실험기지가 설립된 것은 1955년, 첫 임무는 내몽골자치구 바우터우시와 간쑤성 란저우를 연결하는 바오란 철도를 사막의 모래바람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었다. 총 길이 990㎞의 바오란 철도는 1954년 착공해 1958년 8월 개통한 중국 최초의 사막 철도다. 중웨이에서 간탕까지 42㎞ 구간에서 텅거리사막을 통과한다. 모래바람 때문에 개통 초기에는 1년에 11차례 철도가 폐쇄된 적도 있다고 한다이재명 대통령 부인 김혜경 여사와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1일 만났다.두 여성 리더는 이날 오후 5시 서울 중구 서울신라호텔 다이너스티홀에서 열린 ‘제4회 여성기업주간’ 개막식에 참석했다.올해 4회를 맞은 ‘여성기업주간’은 국내 326만 여성기업인을 위한 최대 축제이자 법정 행사다. 이날 행사는 ‘여성기업, 내일을 여는 희망의 열쇠’라는 슬로건으로 대한민국 경제에서 여성기업의 역할과 중요성을 알렸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박용선 기자 5시 5분 전. 이 사장이 다른 주요 내빈들과 함께 신라호텔 다이너스티홀로 들어섰다. 흰색 블라우스에 검은색 바지 정장 차림이었다. 깔끔했고 여성 CEO 느낌이 물씬 났다. 이 사장은 고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장녀로 국내 대표 여성 오너 기업인으로 꼽힌다. 그는 2010년부터 호텔신라 사장에 오른 후 현재까지 회사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5시 바로 직전 흰색 치마 정장 차림의 김 여사가 들어왔다. 이 사장과는 분위기가 대조적이었고, 다소 포근한 느낌이었다. 김혜경 여사. /박용선 기자 행사 참석자들이 모두 일어나 김 여사를 반겼고, 김 여사는 이 사장과 함께 VIP 테이블에 자리 잡았다. 김 여사가 VIP석중 상석에 앉았고, 행사를 공동 주관한 박창숙 한국여성경제인협회 회장이 김 여사의 오른쪽 바로 옆에 착석했다. 이 사장은 그 옆에 앉았다.VIP 테이블에는 김성섭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성미숙 여성벤처협회 회장 등도 앉았다.이후 김 여사와 이 사장은 꼿꼿이 앉아 여성기업인 유공자 포상, 축하공연 등 행사 프로그램을 참관했다. 중간중간 사회자가 박수를 원하는 시점에 맞춰 박수도 쳤다. 김 여사와 이 사장 모두 입가에 미소가 끊이질 않았다. 김혜경(오른쪽 첫번째) 여사와 이부진(오른쪽 세번째) 호텔신라 사장이 VIP 테이블에 앉아 있다. /박용선 기자 김 여사는 단상에 올라 격려사도 했다. 그는 ‘여성기업, 내일을 여는 희망의 열쇠’라는 이번 행사의 슬로건처럼 여성기업인이 대한민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