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나토는 '국방비 증액 축하 현장'..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6-23 22:33 조회6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올해 나토는 '국방비 증액 축하 현장'... 국방비 증액 압력 받는 두 나라 불참, 한국도 굳이 갈 필요 있나▲ 국민의힘 외교통일위원회 위원들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중동발 리스크 대응할 기회인 나토 정상회의 불참은 잘못된 결정"이라며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야당인 국민의힘이 이재명 대통령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에 불참하기로 한 일을 '이념편향 외교' '북중러 눈치보기'로 비판했다. 하지만 회원국이 아닌 초청국 중 한국과 호주가 정상 참석을 취소했고, 일본도 정상 참석 취소로 기울었다.일본 언론들은 23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24일부터 네덜란드에서 열리는 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보류하는 방향으로 조율 중이며, 예정된 회의에는 이와야 다케시 외무상이 대신 참석할 전망이라고 보도했다.<아사히신문>은 이시바 총리의 불참 이유에 대해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미국이 이란의 핵 시설을 공격해 중동 정세가 긴박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상의 참석을 보류하는 국가들이 잇따르고 있는 상황을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에 앞서 지난 20일 나토 정상회의 참석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던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도 불참하기로 했다. 대신 리처드 말스 부총리가 참석한다. 앨버니지 총리도 캐나다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 참석해 미국과 정상회담을 할 계획이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정 중간에 갑자기 귀국해 버리는 바람에 회담이 무산됐다.이번 나토 정상회의에 회원국이 아닌 초청국은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4개 나라였다. 이 중 뉴질랜드는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가 지난 22일 유럽에 도착했고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1600만 달러의 추가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발표했다.자칫 국방비 증액 압력 받을 판인데... ▲ 2023년 7월 11일(현지 시각) 리투아니아 빌니우스에서 열린 NATO 정상회담에서 NATO 정상들이 단체 사진을 찍고 있다.ⓒ AP=연합뉴스이번 나토 정상회의의 중심 의제는 회원국들이 미국이 제시한 GDP 5% 수준의 국방비 확대를 올해 나토는 '국방비 증액 축하 현장'... 국방비 증액 압력 받는 두 나라 불참, 한국도 굳이 갈 필요 있나▲ 국민의힘 외교통일위원회 위원들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중동발 리스크 대응할 기회인 나토 정상회의 불참은 잘못된 결정"이라며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야당인 국민의힘이 이재명 대통령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에 불참하기로 한 일을 '이념편향 외교' '북중러 눈치보기'로 비판했다. 하지만 회원국이 아닌 초청국 중 한국과 호주가 정상 참석을 취소했고, 일본도 정상 참석 취소로 기울었다.일본 언론들은 23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24일부터 네덜란드에서 열리는 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보류하는 방향으로 조율 중이며, 예정된 회의에는 이와야 다케시 외무상이 대신 참석할 전망이라고 보도했다.<아사히신문>은 이시바 총리의 불참 이유에 대해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미국이 이란의 핵 시설을 공격해 중동 정세가 긴박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상의 참석을 보류하는 국가들이 잇따르고 있는 상황을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에 앞서 지난 20일 나토 정상회의 참석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던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도 불참하기로 했다. 대신 리처드 말스 부총리가 참석한다. 앨버니지 총리도 캐나다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 참석해 미국과 정상회담을 할 계획이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정 중간에 갑자기 귀국해 버리는 바람에 회담이 무산됐다.이번 나토 정상회의에 회원국이 아닌 초청국은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4개 나라였다. 이 중 뉴질랜드는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가 지난 22일 유럽에 도착했고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1600만 달러의 추가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발표했다.자칫 국방비 증액 압력 받을 판인데... ▲ 2023년 7월 11일(현지 시각) 리투아니아 빌니우스에서 열린 NATO 정상회담에서 NATO 정상들이 단체 사진을 찍고 있다.ⓒ AP=연합뉴스이번 나토 정상회의의 중심 의제는 회원국들이 미국이 제시한 GDP 5% 수준의 국방비 확대를 약속할 수 있느냐는 것인데, 회원국들은 일단 이를 이행하기로 합의를 이뤘다. 마르크 뤼터 나토 사무총장은 GDP의 3.5%는 핵심 국방 지출에, 1.5%는 인프라 등 안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