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보험 디비 DB 펫보험 고양이 애견보험 펫블리 후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Emily 작성일25-06-21 09:54 조회2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퇴직금 DB 종류DB형 DC형뜻 차이오늘은 퇴직금 제도인 DB형과 DC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DB형 (Defined Benefit, 확정급여형)DB형(확정급여형)이란 퇴직 시 받을 금액이 확정되어 있는 제도로 회사에서 운용하고 관리합니다. · 운용주체 : 회사DB형 퇴직금은 근속연수와 평균임금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DB형 퇴직금 계산공식근속연수 × 평균임금 × 30일여기서 DB 근속연수는 1년 단위로 계산하며 6개월 이상인 경우 1년으로 인정되며, 1년 미만일 경우 근속연수에서 제외됩니다. 평균임금이란 퇴직 직전 3개월간의 총 임금의 합계를 총 일수로 나눈 값입니다. 여기에 포함되는 임금은 기본급, 잔업수당, 휴일수동, 고정적인 상여, 식대, 교통비 등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을 DB 말합니다. (성과 인센티브 등 변동성 있는 임금은 제외)【 DB형 퇴직금 계산 예시 】 · 퇴직 직전 3개월 간 총 임금 : 10,000,000원 · 총 일수 : 91일 → 1일 평균임금 㴐,000,000 ÷ 91 ,890원 · 근속연수 : 10년∴ 109,890원 DB × 10년 × 30일 㴲,967,000원DC형 (Defined Contribution, 확정기여형)DC형(확정기여형)이란 매년 회사가 정해진 금액(1년치 급여의 1/12)을 근로자 본인 계좌에 납입해주고 이 금액을 개인이 직접 운용, 관리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 운용주체 : 개인공식적으로 퇴직연금제도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2005년으로 이 때 DB형과 DC형이 DB 제도화 되었습니다. 2005년 이전에는 일반적으로 DB의 형태와 유사하게 회사에서 퇴직금을 운용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했었다고 봐야겠습니다.DC형은 개인이 직접 운용 상품과 방법을 선택해야 하는데 예금상품, 보험상품, 펀드상품, MMF(머니마켓펀드), RP(환매조건부채권) 등이 있습니다. 예금 및 보험상품은 원금이 보장되지만 수익률이 높지는 않고, 그 외 채권, DB ETF, 주식형 펀드상품은 원금 보장이 되지 않으나 잘 만 운용하면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습니다.*DB형 vs DC형 비교구분DB형 (확정급여형)DC형 (확정기여형)퇴직금 결정 방식퇴직 시점 급여 기준으로 산정(근속연수×평균임금×30일)회사가 정해진 금액을 납입(매년 1년치 급여의 1/12 지급)운용 주체회사개인Risk낮음높음(상품 선택에 따라 다름)마무리오늘은 퇴직금 제도인 DB DB형과 DC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DB형은 퇴직 직전 3개월의 임금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퇴직 전에 전략적(?)으로 잔특근을 많이 하여 임금을 올리기도 하죠. 또한 임금피크제가 시작되면 그만큼 임금이 줄어들어 퇴직금도 같이 줄기 때문에 DC형으로 전환을 하거나 임피제 전에 희망퇴직 등을 신청하여 DB 퇴직을 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DC형으로 전환하여 개인이 직접 ETF 상품에 투자하는 근로자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저 역시도 DC형으로 바꿔 퇴직금을 직접 운용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DC형의 경우 공격적인 투자성향을 가진 분들은 수익률은 높을 수 있으나 원금 보장이 안될 수 있으니 DB 유의하셔야 하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