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맞은 편지 표면적으로 보자면 생매장 > 덕트 수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덕트 수리

도둑맞은 편지 표면적으로 보자면 생매장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5-11 22:28 조회2회 댓글0건

본문

도둑맞은 편지표면적으로 보자면 생매장 당한 이의 이름이 포르투나토라는 것에 많은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고, 무슨 복수가 이렇게 간단하고 쉽게 마무리되는지에 대한 의문을 지울 수 없다. 또한 복수의 대상이 되어 쥐도 새도 모르게 생매장 당한 그리고 그것을 행한 이들, 그리고 50년 동안 어느 누구도 이 사실을 알지 못한 것에 공포를 느낄 수도 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이 작품은 상당한 은유가 들어갔으며 실제로 이런 행위가 일어났다고 보이지 않는다.나의 생각책 속으로에드거 앨런 포 작가 소개술을 좋아하는 포르투나토에게 구하기 어려운 아몬티야도를 구입했는데 진짜인지 알 길이 없다고 접근한다. 묘하게 다른 친구에게 맡길 것처럼 말하며 그의 욕망을 자극하여 결국은 자신의 집 지하실로 끌고 간다. 아주 깊숙한 지하실은 당시에는 집안의 묘로도 사용한 듯하다. 열심히 데리고 간 지하실은 이미 산소가 부족하여 불이 저절로 꺼질 정도로 공기가 탁했는데 그는 포르투나토를 그곳에 묶고 차근차근 벽을 세워 생매장해 버린다. 그리고 이 이야기는 50년이 지난 지금 이야기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결론여기까지가 문학과 지성사에서 출간한 문지 스펙트럼 시리즈 에드거 앨런 포의 도둑맞은 편지 중 아몬티야도 술통에 대한 개인적 해석이다. 이 작품을 읽으면서 성경에 나오는 그날의 화는 해가 지기 전에 풀라는 말을 떠올리게 된다. 저자는 미워하고, 증오하고, 혼자서 복수의 칼날을 가는 것은 자신의 마음속에 상대의 무덤을 만들어 놓고 기괴하게 히죽거리며 만족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니 그날의 화는 그날 풀고 속 편하게 살라는 듯이.먼저 아몬티야도 술통에 서 아몬티야도는 스페인에서 담근 희귀한 와인이며 구하기 어려운 만큼 매우 귀하고 비싼 술이다. 접한 사람이 많지 않기에 이를 감별하는 자체도 어려운 술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작품 속 아몬티야도는 복수를 행하는 몬트레소르의 지식과 권위와 자기만의 취향을 의미하며 나아가 욕망의 상징으로 그려진다. 이야기는 몬트레소르가 포르투나토라는 사람에게 해코지를 당했다며 아주 영리하게 복수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P.172에드거 앨런 포문지 스펙트럼 시리즈도둑맞은 편지는 제목 그대로 왕가의 도둑맞은 편지를 찾기 위해 파리 경시청장이 노력하지만 찾지 못하고 오귀스트 뒤팽이라고 하는 인물이 인간 심리를 파악하여 아주 가볍게 찾아낸다는 이야기이며 황금 풍뎅이는 어느 날 발견한 황금 풍뎅이로 인하여 의도치 않게 손에 들어온 양피지 한 장으로 해적의 보물을 찾는 이야기이며, 어셔가의 몰락은 신경병에 걸린 어셔가의 마지막 남은 쌍둥이 남매와 집이 어떤 식으로 몰락하는지를 그린 작품이다.여기까지 생각을 하면 죽은 자이지만 그의 이름이 포르투나토라는 것이 조금은 이해가 된다. 먼저 그는 굉장히 빠른 속도로 질식해서 죽기에 이 이름이 의미하는 바가 나름 어울린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말한 것처럼 심리적 복수일 뿐이라면 그는 여전히 거리를 활보하며 여전히 자신의 생각대로 유쾌하게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그를 죽인 것이 아니라는 것. 이 정도면 포르투나토라는 이름이 꽤 걸맞지 않을까?2018.11.05(1839-1846)개인적으로 이 작품은 한 개인이 마음에 미움을 품고 복수심을 갈고 있는 그 심리를 은유적으로 묘사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즉, 산소가 없어 횃불마저 꺼질 지경의 지하실은 미움과 복수심에 점철된 인간의 마음이라고 보인다. 긍정의 요소이자 희망의 요소인 아주 작은 불빛마저 살 수 없는 곳. 결국 누군가를 향한 지독한 증오는 상대보다도 자신의 마음을 지옥으로 만든다는 것을 말하고 싶었던 것이 아니었을까?자, 이제 다시 생각해 보자. 생매장 한 자체도 공포스럽지만 이것보다 50년 동안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빈 벽을 보고 미소를 짓고 있을 그의 모습을 보면 괴기스럽게 다가오지 않는가? 저자는 이렇게 속삭이는 듯하다. 이것이 심리적인 복수의 실체라고. 그래도 누군가를 증오하면서 마음속으로 난도질을 하면서 스스로의 마음을 위로하며 하루하루를 살겠냐고.영미소설지난달부터 시작한 문학과 지성사의 문지 스펙트럼 그 세 번째 에드거 앨런 포의 도둑맞은 편지이다. 어떤 이에게는 추리소설가로, 어떤 이에게는 공포 소설가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읽어보니 그는 지독하게 인간 본성 자체를 탐구한 작가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모든 작품을 다 파헤쳐 보고 싶지만 독자의 권리를 무시하는 듯하여 가장 인상 깊었던 단 한 편만 살펴보려고 한다. 그럼 단편소설의 아버지, 추리소설의 창시자라고 알려진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 세계로 들어가 보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단으로

[본 사] 서울시 노원구 월계1동 26-8(3층) TEL. 02-521-8852 FAX. 02-521-8851
[대구지사] 대구시 북구 산격동 1240-1 TEL. 053-957-0958 FAX. 053-521-09489
대표:이성길 사업자등록번호:214-02-78800 개인정보관리책임자:이성길

Copyright © ssungjin.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