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와 해상운임, 컨테이너 화물운임지수 SCFI, CCFI, BDI > 덕트 수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덕트 수리

트럼프 관세와 해상운임, 컨테이너 화물운임지수 SCFI, CCFI, BDI

페이지 정보

작성자 Edan 작성일25-05-10 06:31 조회2회 댓글0건

본문

해운업계는 컨테이너운임 호황기가 끝나고 불황기를 맞고 있다. 글로벌 해상 컨테이너 운임 대표 지수인 SCFI(Shanghai Shipping Exchange Index)는 올해 3월 916pt, 4월 1,007pt, 5월 984pt, 6월 1,004pt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동월 대비 각각 80%, 76%, 76%, 76%가 하락한 수치다.​[글로벌 해상 컨테이너 운임 대표지수(SCFI)](출처: Shanghai Shipping Exchange[1])​따라서 이번 칼럼에서는 해운운임이 하락하는 주요 원인(수요·공급 측면)과 컨테이너운임 해운운임에 영향을 미친 주요 사건들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수요∙공급 측면수요 측면: 해운업계는 수요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세계은행(World Bank)이 발표한 세계경제전망(Global Economic Prospects)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세계 경제의 성장률(Real GDP 성장률)은 2023년 세계 경제의 성장률은 2.1%로 예상되며, 이는 이전 1월 예측 대비 0.4% 상향 조정된 수치다. 그러나, 이는 2021년의 6%와 컨테이너운임 2022년의 3.1%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의 경제 성장률 전망도 마찬가지로, 2023년에는 2.8%로 예상되며, 2024년에는 3%로 예측되고 있다. 국제기구에서 글로벌 경기 침체가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이는 물동량에도 영향을 미친다.​[Real GDP 성장률](출처: World Bank[2])​실제로 올해의 해상 컨테이너 물동량은 작년 동월 대비 성장률이 감소하였다. 2월에는 6.5% 하락, 3월에는 3.1% 하락, 4월에는 3.7% 컨테이너운임 하락하였다. 필자가 삼성SDS와 수행 중인 해운운임 예측 연구결과에 따르면, 2023년 해상 컨테이너물동량은 전년 대비 약 1.9%의 상승이 예측되고 있다. 글로벌 주요 기관들의 2023년 해상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을 살펴보면, Clarksons은 1.6%, Drewry는 1.9%, 산업은행은 2.1%의 작년대비 상승을 각각 전망하고 있다.​[주요 기관들의 2023년 해상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그러나, 글로벌 경기 침체가 2024년까지 지속될 컨테이너운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컨테이너 물동량의 급격한 증가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공급 측면: 올해 8,000TEU 이상의 컨테이너 선박 인도량은 3월에 55,406TEU, 4월에 81,028TEU, 5월에 133,625TEU로 기록되었다. 이는 작년 동월 대비 각각 100%, 106%, 458%의 증가한 수치다.​[글로벌 컨테이너 물동량 Indicator](출처: Clarksons Shipping Intelligence Network[3])​펜데믹 기간 동안 예외적인 실적을 기록한 정기선사들은 경쟁적으로 컨테이너 선박을 컨테이너운임 발주하였으며, 이 때 발주된 선박은 2023년도부터 인도된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올해 컨테이너 선박 인도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필자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컨테이너 선복량은 전년대비 약 7%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Alphaliner는 약 8%, MSI는 약 7%의 증가를 예측하고 있다.​종합하면, 2023년 6월까지 선복량의 증가율이 물동량의 증가율을 크게 앞서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컨테이너운임 반영되어 현재 해운업계는 불황을 맞이하고 있다. 문제는 전망도 좋지 못한 상황이며, 이로 인해 해운운임의 급격한 상승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컨테이너 물동량과 컨테이너 선복량은 2023년 12월 칼럼에서 더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8,000TEU 이상 컨테이너 선박 인도량](출처: Clarksons Shipping Intelligence Network[4])​​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를 클릭해주세요.▼해운운임이 하락하는 주요 원인과 해운운임에 영향을 미친 주요 사건들에 대해 컨테이너운임 살펴봅니다. | 첼로스퀘어 (Cello Square)​​​# Reference​▶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기고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 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전준우 교수현 성결대학교 글로벌물류학부 교수주요 연구 실적:System Dynamics in the Predictive Analytics of Container Freight rates (Transportation Science. SCI, 2021), 해운 및 항공운임 예측(삼성SDS, 컨테이너운임 20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단으로

[본 사] 서울시 노원구 월계1동 26-8(3층) TEL. 02-521-8852 FAX. 02-521-8851
[대구지사] 대구시 북구 산격동 1240-1 TEL. 053-957-0958 FAX. 053-521-09489
대표:이성길 사업자등록번호:214-02-78800 개인정보관리책임자:이성길

Copyright © ssungjin.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