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인우 넷스코프 한국지사장 인터뷰남인우 넷
남인우 넷스코프 한국지사장 인터뷰남인우 넷스코프 한국지사장이 <디지털데일리>를 만나 SASE 보안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넷스코프][디지털데일리 김보민기자] 공공과 금융권을 중심으로 망분리 제도가 완화되면서,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 전환이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그러나 보안은 여전한 숙제다. 인터넷을 연결하지 않던 영역에 망이 연계될 경우, 핵심 정보가 유출되거나 내외부 위협을 파악하기 어려워질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클라우드와 AI 전환에 돌입한 기업도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다. 기존에는 보안 위협이나 취약점이 발생할 '구멍'을 찾아 메우는 작업을 하면 끝이었지만, 이제는 기술 발전으로 구멍 규모가 늘어났고 다뤄야 할 요인 또한 복잡해진 상황이다. 공공, 금융, 민간 모두 차세대 보안 전략을 고민하는 이유다.2012년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출범한 넷스코프는 보안액세스서비스엣지(SASE)로 각 조직에 맞는 맞춤형 전략을 구현해야 한다고 말한다. 복잡한 정보기술(IT) 환경에서 중요 항목을 가시화해 위협 기반 제어를 구현할 보안이 필요하다는 취지다. 제로트러스트를 기반으로 한 신뢰를 확보하는 것 또한 필수라고 보고 있다. <디지털데일리>는 남인우 넷스코프 한국지사장을 만나 클라우드와 AI 시대에 필요한 SASE 전략을 들어봤다.◆ 정보유출 방지? 무엇이 문제인지 알아야 가능남인우 지사장은 클라우드와 AI 전환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보안 현장에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국내 보안 현장에서 가장 우려하는 위협은 정보 유출"이라며 "랜섬웨어와 같은 위협은 (보안 전략을 세울 때) 객관적인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교적 준비를 갖춘 곳이 많지만, 정보 유출의 경우 엔드포인트부터 네트워크까지 고민할 요인이 다양해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이런 기업의 경우 데이터유출방지(DLP)와 같은 단일 솔루션으로 대응 체계를 구축하기도 하지만, 이로 인해 완벽한 보안을 구현했다고 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가시성이 대표적인 예다. 현재 보안 현장에서는 위협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가시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있지만, '이 정도면 됐다'는 식으로 자체 평가로 마무리해버리는 경우가 다반사다.남 지사장은 '언노운 언노운스(Unknown Unknowns·모르고 있다는 것을 모르고 있다는 말)'와 같은 보안 태세를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단순히 통계를 내주고 요약해주는 것이 가시화가 아니다"라며 "눈으로 볼 수 없는 환경을 보여주고, 정책을 세울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가시화"라고 설명했다남인우 넷스코프 한국지사장 인터뷰남인우 넷스코프 한국지사장이 <디지털데일리>를 만나 SASE 보안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넷스코프][디지털데일리 김보민기자] 공공과 금융권을 중심으로 망분리 제도가 완화되면서,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 전환이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그러나 보안은 여전한 숙제다. 인터넷을 연결하지 않던 영역에 망이 연계될 경우, 핵심 정보가 유출되거나 내외부 위협을 파악하기 어려워질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클라우드와 AI 전환에 돌입한 기업도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다. 기존에는 보안 위협이나 취약점이 발생할 '구멍'을 찾아 메우는 작업을 하면 끝이었지만, 이제는 기술 발전으로 구멍 규모가 늘어났고 다뤄야 할 요인 또한 복잡해진 상황이다. 공공, 금융, 민간 모두 차세대 보안 전략을 고민하는 이유다.2012년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출범한 넷스코프는 보안액세스서비스엣지(SASE)로 각 조직에 맞는 맞춤형 전략을 구현해야 한다고 말한다. 복잡한 정보기술(IT) 환경에서 중요 항목을 가시화해 위협 기반 제어를 구현할 보안이 필요하다는 취지다. 제로트러스트를 기반으로 한 신뢰를 확보하는 것 또한 필수라고 보고 있다. <디지털데일리>는 남인우 넷스코프 한국지사장을 만나 클라우드와 AI 시대에 필요한 SASE 전략을 들어봤다.◆ 정보유출 방지? 무엇이 문제인지 알아야 가능남인우 지사장은 클라우드와 AI 전환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보안 현장에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국내 보안 현장에서 가장 우려하는 위협은 정보 유출"이라며 "랜섬웨어와 같은 위협은 (보안 전략을 세울 때) 객관적인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교적 준비를 갖춘 곳이 많지만, 정보 유출의 경우 엔드포인트부터 네트워크까지 고민할 요인이 다양해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이런 기업의 경우 데이터유출방지(DLP)와 같은 단일 솔루션으로 대응 체계를 구축하기도 하지만, 이로 인해 완벽한 보안을 구현했다고 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가시성이 대표적인 예다. 현재 보안 현장에서는 위협 현황을 모니
남인우 넷스코프 한국지사장 인터뷰남인우 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