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 관세 부과 발표 행사 중 무역 장벽 연례 보고서를 들고 발언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에 대해서는 25% 상호 관세를 산정했다. 워싱턴=AP 뉴시스 한국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25% 상호관세 부과'가 2일(현지시간) 발표되자 “한중일 동북아 3국이 공동 대응해 협상력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박상인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는 3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나라에 25%를 때리며 '원래는 50%인데 반을 깎아줬다'는 식으로 이야기하지만 제대로 근거를 밝히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이같이 밝혔다.또한 박 교수는 미국의 이번 상호관세 정책으로 그동안 공산품에는 관세를 매기지 않았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사실상 폐기됐다고 짚었다. 그는 “미국은 한국과 멕시코, 캐나다와 FTA 협정을 맺었는데, 이들 입장에서 보면 FTA가 일방적인 폐기를 당한 것”이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발표한 국가별 상호관세율(오른쪽 노란색 열). 미 백악관 홈페이지 캡처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불리했던 무역 질서를 바로잡기 위해 상호 관세를 즉각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날 공개된 상호관세율 표는 ‘대미 관세(통화 및 무역 장벽 포함)’와 ‘미국이 깎아준 상호관세’로 나뉘어 있었고, 한국에는 각각 50%, 25%로 기재돼 있었다. 즉 미국이 산정한 한국의 대미관세는 50%지만, 상호관세는 여기서 절반을 깎은 25%로 책정한다는 의미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높은 비관세 장벽(관세를 제외한 모든 무역 제한 조치)으로 한국에서 외국산 자동차 시장 점유율이 낮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와 관련, 박 교수는 “독일산 자동차의 점유율은 꽤 높다. 미국산 자동차 점유율이 낮은 것”이라며 “그건 상대적인 가격이나 제품 경쟁력, 서비스의 문제다. 서비스 센터 등 대규모 인프라 구축을 해야 판매가 되는데 미국 자동차들은 한국에 투자를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이번 관세 부과로 세금 인상 없는 재정 충당, 제조업의 미국 유치를 꾀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노림수가 통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박 교수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부 기관 구조조정으로 여론이 좋지 않고, 최근 공화당 텃밭인 플로리다주 하 김창규 제천시장 [사진 출처 = 제천시] 제천시가 ‘역동적이고 새로운 경제도시 제천’을 2025 시정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제천시는 지난 2년 8개월 동안 2조7862억원의 투자유치, 2200여개 새 일자리 창출 등의 성과를 이뤄냈다. 더 나아가 올해는 투자유치 4조원 달성, 연 관광객 1500명을 달성하겠단 목표다.작년 3조 투자 유치…경제 성장 기틀 마련제천시는 지난해 소득 2배 성장을 위한 고도 경제 성장 기틀을 마련했단 평을 받는다. 2024년 4분기 기준 민선 8기 공약사업은 이행률 74%에 달한다. 매니페스토 공약 이행평가에서도 충북 시 단위 중 유일하게 A등급을 획득했다. 지난해 성과 중 약 2조7862억원의 투자 유치, 2202명의 일자리 창출, 1070만 관광객 유치 등이 대표 지표로 꼽힌다.스포츠 마케팅을 통해 105개 대회가 개최됐고, 53만명이 제천을 다녀갔다. 이를 통한 소비유발 효과는 1319억원에 달한다.또한 고려인 동포 이주·정착 지원사업도 추진 1년여 만에 550명을 돌파했다. 외교관 출신으로 1984년 외무고시 합격 이후 외교통상부 인사제도계장, 주독일 대한민국대사관 참사관, 주아제르바이잔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 등을 지낸 김창규 제천시장의 역량이 작용했단 평이 따른다.2025년 경제력 두 배 성장 향해 전력올해 제천시는 민선 8기 투자 유치 목표인 3조원을 넘어 4조원 달성에 도전한다. 이를 위해 제천시는 기업 투자 유치에 전력을 다해 미래 첨단 소재산업과 이차전지소재, 자동차 부품, 고부가 식품산업과 제약바이오 기업을 집중 유치함으로써 경제 규모 배가와 그에 따른 실질적 경제 파급 효과를 지역 곳곳에 확산해 연계 발전을 이룬다는 목표를 세웠다.공공기관의 경우 수도권 소재 연구기관, 교육원, 지역 본부 등의 정책동향을 면밀히 파악해 적극적으로 유치해 나간다는 전략이다.제천시는 초대형 이벤트 ‘2025제천국제한방천연물산업엑스포’를 준비 중이다. 제천시는 이번 제천 국제한방 천연물산업엑스포에 해외 50개 기업을 포함해 250개 기업 참여, 152만 명의 관람객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성공적인 엑스포 개최와 함께 천연물 지식산업센터 완공 사업, 천연물소재전주기표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