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서울=뉴스1) 박현영 블록체인전문기자 = 비트코인(BTC)이 국내에서도 1억 6600만원을 돌파하며 역대 신고가를 달성했다. 지난 1월 신고가를 경신한 이후 약 6개월 만이다. 다만 같은 기간 달러 기준 해외 시세는 1만 3000달러(약 1800만원) 가량 올랐다. 지난 1월에는 김치프리미엄(국내 가격이 해외보다 높은 현상)이 있었지만, 현재는 역(逆) 프리미엄(해외 가격이 국내보다 높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달러·원 환율 하락, 국내 시장 위축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14일 오후 3시 40분 업비트 기준 국내 비트코인 가격은 오전 9시 대비 2.68% 오른 1억 6600만 8240원을 기록했다. 같은 시간 바이낸스 기준 해외 비트코인 가격은 12만 2104달러다. 비트코인의 원화 기준 가격이 신고가를 경신한 것은 올해 1월 20일 이후 약 6개월 만이다. 지난 1월 20일 업비트에서 비트코인은 1억 6332만원을 터치했다. 6개월 동안 약 300만원 오른 셈이다. 하지만 달러 기준 가격은 훨씬 큰 폭으로 올랐다. 지난 1월 20일 바이낸스에서 비트코인은 10만 9000달러를 터치했다. 현재는 12만 2000달러대에서 거래되고 있으므로 6개월 간 약 1만 3000달러(1800만원) 가량 올랐다. 이처럼 국내 상승 폭과 해외 상승 폭 간 차이가 나는 이유는 1월에는 '김치프리미엄'이 있었지만, 현재는 '역 프리미엄'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역 프리미엄은 1.7% 가량으로, 업비트에서 비트코인이 바이낸스보다 1.7% 저렴하게 거래되고 있다. 김치프리미엄이 역 프리미엄으로 바뀐 데는 환율 하락, 국내 시장 위축 등이 영향을 줬다. 통상 달러·원 환율이 상승하면 원화 가치가 하락해 가상자산 시장에서도 김치프리미엄이 심화된다. 반대로 환율이 떨어지면 역 프리미엄이 나타날 수 있다. 올해 1월 20일은 달러·원 환율이 한 달째 1450원 이상이던 시기다. 이에 역 프리미엄이 아닌 김치프리미엄이 나타났다. 반면 이날(7월 14일) 서울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1378원에 출발했다.또 국내 거래소의 거래량이 1월 대비 줄어들기도 했다. 업비트를 예로 들면 지난 1월 20일 업비트의 24시간 거래량은 약 14조원이었으나, 이날 업비트 24시간 거래량은 약 6조원이다. 비트코인 가격이 신고가를 경신한데다, "서울 연희동 기준으로 A은행의 점포는 B은행, C은행 대비 ATM 개수는 물론 규모도 작은 편이다. 오늘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붐비는 경우는 거의 없다."(A은행 연희동지점 청원경찰) 지난 11일 오전 9시부터 9시30분 사이 A은행 연희동지점을 찾은 고객은 모두 6명에 불과했다. 2개 창구 앞에서 기다리는 고객은 모두 60대 이상 고령층으로 보였다. A은행 해당 지점의 청원경찰은 "간혹 월말이나 각종 세금 납부가 몰리는 날에는 아침 일찍부터 줄을 서는 경우가 있지만 드문 일"이라고 말했다. 같은 날 오전 9시40분~10시10분 C은행 연희동지점을 찾은 고객은 13명이었다. 2개 일반창구와 2개 VIP 전용창구를 운용하는 이곳은 매출과 행원 수 측면에서 모두 A은행의 두 배를 넘는다. C은행 관계자는 "고령층 고객이 점포를 찾는 경우도 대부분 앱으로 해결 가능한 만큼 접속 방법 등 앱 사용법을 물어보는 경우가 많다"면서 "창구에서 앱 사용법을 안내하면 같은 용건으로 창구를 찾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이날 C은행 연희동지점 창구에서 한 고객은 스마트폰을 활용해 계좌의 잔액과 예·적금에 가입하는 방법을 물었다. 이른바 '뉴시니어'의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기존 금융 소외계층으로 인식됐던 고령층마저도 창구 이용의 효용성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C은행 해당 지점의 청원경찰은 "월요일 오전 문을 연 직후 내방객이 가장 많다"면서 "금요일 오후 4시 직전에도 몰리는 편이지만 그 외의 시간은 대부분 대기표를 뽑는 즉시 업무처리가 가능할 만큼 한산하다"고 전했다. 경기 안양시에 자리한 B은행 점포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오전 9시부터 낮 12시까지 점포를 방문한 고객은 22명에 불과했다. 대부분 유선통화와 모바일, 온라인 등을 통해 상담을 마치고 최종 대출계약을 하러 온 고객이었다. B은행 관계자는 "점포 내방고객은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며 "초고액 자산가를 위한 프라이빗뱅커(PB) 영업 그리고 기업금융 업무를 제외한 대부분의 업무가